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181)
근황 뭐... 어찌저찌해서 시험이 끝났다. 코딩은 생각도 안 날 정도로 열심히 공부했지만, 성적이 잘 나오지 않았다. 특히 영어.. 영어는 내가 뭘 공부한 건가 싶을 정도로 개 망했다. 영어 때문에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지만 뭐 어쩌겠는가.. 그래서 이번 방학에는 (이미 늦은 것 같긴 하지만) 영어 공부를 집중적으로 해보려고 한다. 시험이 끝나자마자 코드업을 주구장창 풀었다. 당장 수행 3개가 밀려있기는 한데, 이 글만 쓰고 하러 갈 예정이다. 이제 외부 대회 준비도 하고, 교내 알앤이, 창개연 등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. 시험이 끝나면 배우고 싶은 알고리즘이 많았는데 이번 방학 내로 배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. 하고 싶은 말이 많았는데 막상 컴퓨터 앞에 앉으니 다 사라졌다! 나중..
1,200 1,000에서 1,100까지는 파이썬 기초 문제 덕분에 수월하게 올라갔다. 하지만 1,100에서 1,200까지는... 정말 오랜 시간 투자와 노력이 있었던 것 같다. 1,000문제 달성 글을 올린 날짜가 2월 15일이고, 파이썬 기초 문제가 나온 날이 2월 21일이니 1,200문제까지는 4개월 하고도 일주일 정도가 더 걸린 것이다. 그러나 보니 어느새 5위권을 눈앞에 둘 정도로 순위도 높아졌다. 이젠 정말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얼마 남지 않았지만..ㅋㅋ 이대로 꾸준히 해서 3~4위 정도에 안착시킬 수만 있다면 행복할 것 같다. ps. 바로 어제, 평소처럼 코드업 게시판에 답변을 달던 중 정말 오랜만에(!) 재답변을 받을 수 있었다. 배열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했었고, 이후 알려주셔서 감사하다..
Hello Mr. My Yesterday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[BOJ 2867] 수열의 값 2867번: 수열의 값 첫째 줄에 수열의 크기 N(2 n; vector sn(n+1),sx(n+1); ll x,ans=0; stack stn,stx; stn.push({0,0}); stx.push({(ll)1e9+1,0}); for(int i=1;i> x; while(stn.top().val>x) stn.pop(); while(stx.top().val
'공부가 필요해' 기록지 앞으로 이 문제에 제출을 할 때마다 이 곳에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.